3. Space Adaptation
Space Adaptation / 2019
VR Installation, Virtual Reality, Server Rack, Analog TV, Living Soil Creatures and Plants, 1×1×1m
테크놀로지+댄스│36min│제작년도 2019
감독 : 윤정원
출연 : 이종윤, 이진우
The inevitable takeoff and landing on an unfamiliar planet.
Jong-yoon and Jin-woo are becoming more dependent on each other...
낯선 행성으로의 불가피한 이륙과 착륙. 종윤과 진우는 서로에게 점점 의지하게 되는데…
"Not for mankind, but for me it's my first step."-"I'm glad to have you."
“인류에게는 아니지만, 나에게는 첫발걸음입니다.”, “당신이 있어 다행입니다.”
Perhaps we live by adapting to the new things we face each time until the moment we are born and die. Because it's the first time, it's always scary, it's hard,
아마도 우리는 태어나고 죽는 순간까지 매번 새롭게 마주 하는 것들에 적응하며 살아간다.
처음이기에 언제나 그 발걸음은 두렵고, 어렵고,
Great, like the first step on the moon 50 years ago.
위대하다. 50년 전 달에 내딛는 첫 발걸음 만큼.
This is a tribute to those who are constantly adjusting to the difference in reality. I pray that you will be comforted by the memories of those who were beside you while sharing this journey.지금도 녹록지 않은 현실의 차이(공차)에 끊임없이 적응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바치는 헌사. 이 움직임의 여정을 함께하며 곁에 있는, 곁에 있었던 그리운 존재들을 떠올림에 위로 받길 기원한다.
상영:
아트나인, 2019 SeDaFF 서울무용영화제(2019)
KU시네마테크 (2020)
한국영상자료원 KOFA (2020)
롯데시네마 홍대 (2021)
감독, 미술, 각본 윤정원
VR Installation, Virtual Reality, Server Rack, Analog TV, Living Soil Creatures and Plants, 1×1×1m
테크놀로지+댄스│36min│제작년도 2019
감독 : 윤정원
출연 : 이종윤, 이진우
The inevitable takeoff and landing on an unfamiliar planet.
Jong-yoon and Jin-woo are becoming more dependent on each other...
낯선 행성으로의 불가피한 이륙과 착륙. 종윤과 진우는 서로에게 점점 의지하게 되는데…
"Not for mankind, but for me it's my first step."-"I'm glad to have you."
“인류에게는 아니지만, 나에게는 첫발걸음입니다.”, “당신이 있어 다행입니다.”
Perhaps we live by adapting to the new things we face each time until the moment we are born and die. Because it's the first time, it's always scary, it's hard,
아마도 우리는 태어나고 죽는 순간까지 매번 새롭게 마주 하는 것들에 적응하며 살아간다.
처음이기에 언제나 그 발걸음은 두렵고, 어렵고,
Great, like the first step on the moon 50 years ago.
위대하다. 50년 전 달에 내딛는 첫 발걸음 만큼.
This is a tribute to those who are constantly adjusting to the difference in reality. I pray that you will be comforted by the memories of those who were beside you while sharing this journey.지금도 녹록지 않은 현실의 차이(공차)에 끊임없이 적응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바치는 헌사. 이 움직임의 여정을 함께하며 곁에 있는, 곁에 있었던 그리운 존재들을 떠올림에 위로 받길 기원한다.
수상:
2019 제 3회 서울무용영화제(SeDaFF) 최우수작품상
2021 제21회 서울국제대안영상예술페스티벌(NeMaF) 한국신작전 관객위원상
2021 제21회 서울국제대안영상예술페스티벌(NeMaF) 한국신작전 관객위원상
상영:
아트나인, 2019 SeDaFF 서울무용영화제(2019)
KU시네마테크 (2020)
한국영상자료원 KOFA (2020)
롯데시네마 홍대 (2021)
안무, 원작 이종윤 이진우
출연 이종윤, 이진우, 손영건
조연출 최은솔
촬영감독 박찬우
PD 김영서
스크립터 한규필
의상 배하영 박현진
음향 박준
음악 이지원
촬영보조 류권우
조명보조 양기태
현장스탭 조은기 한의현 심규범
미술도움 김준하 김준하
기술도움 김도헌
사진 최근우
Making: Space Adaptation / 2019
making photographs
Copyright 2019. 윤정원(Yoon Jungwon) & 최근우(Choi Geunu)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Copyright 2019. 윤정원(Yoon Jungwon) & 최근우(Choi Geunu)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Making: Space Adaptation / 2019
Making: Space Adaptation / 2019
Making: Space Adaptation / 2019
Making: Space Adaptation / 2019
Making: Space Adaptation / 2019
Making: Space Adaptation / 2019
Making: Space Adaptation / 2019
Making: Space Adaptation / 2019
Making: Space Adaptation / 2019
Making: Space Adaptation / 2019
Making: Space Adaptation / 2019
Making: Space Adaptation / 2019
Making: Space Adaptation / 2019
Making: Space Adaptation / 2019
Making: Space Adaptation / 2019
Making: Space Adaptation / 2019
Making: Space Adaptation / 2019
Making: Space Adaptation / 2019
Making: Space Adaptation / 2019
Making: Space Adaptation / 2019
Making: Space Adaptation / 2019
Making: Space Adaptation / 2019
Making: Space Adaptation / 2019
Making: Space Adaptation / 2019
Making: Space Adaptation / 2019
Making: Space Adaptation / 2019
Making: Space Adaptation / 2019
The dance film "Space Adaptation" is a 36-minute long SF genre independent film produced by Yoon Jung-won. For two years, I had a period of exploration about how movies and dance have been converging so far and how they can do so in the future. As a result, we explored how chemical combinations can create new dances and new movies. Citing movie critic Oh Dong-jin's review of the work, the result was a "non-film and non-dancing work at the same time."
<Space Adaptation> has an epic structure that goes without lines and is about space exploration, love and fraternity, real estate and youth issues, and adventure. The screen was filled so that the overall tone and format could stay at a point that was not a dance film or a silent film, and that the audience could focus only on rising and falling the two main characters. We experimented with how visual and dance languages can overlap and coexist as overlapping images.
As a director, I was able to coordinate the process, study and contemplate the act of conveying nervousness and openness to the media, and express the discourse of the screen dance genre. Through winning the Seoul Dance Film Festival, recommending Central Park distributors, and screening orange films, he was invited to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dancer specialists for screenings and discussions, he was able to see a wide range of concerns, expectations, and opinions of each choreographer had. As a result, he gained a unique perspective on media and dance and a sense of role as an artist, and became a great motivator for the production of later works. It became critical reflection as a processing agent into the media.
무용 영화 <공차적응>은 윤정원이 제작한 러닝타임 36분 길이의 SF 장르 중편 독립영화다. 2년 간 영화와 무용이 지금까지 어떻게 융합해왔고, 앞으로 어떻게 그럴 수 있겠느냐 하는 탐색의 기간을 가졌다. 그 결과 화학적 결합으로 어떻게 새로운 무용이면서도 새로운 영화인 것을 만들 수 있겠는가 탐구했다. 작품에 대한 오동진 영화평론가의 심사평을 인용하면, 그 결과 ‘비영화적이면서 동시에 비무용적인 작품’이 만들어졌다.
<공차적응>은 대사 없이 움직임만으로 진행되는 서사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우주탐사, 사랑과 우애, 부동산과 청년 문제, 모험을 소재로 한다. 전체적인 톤과 형식을 댄스 필름도 아니고, 무성영화도 아닌 지점에서 머물도록 하고 관객이 두 주인공(무용수)의 상승과 하강을 함께 하는 것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스크린을 채웠다. 영상언어와 무용언어가 어떻게 중첩되고, 중첩의 상으로 공존할 수 있는가 실험했다.
감독으로서 과정을 조율하고, 떨림과 열림을 미디어로 전달하는 행위에 대해 고민하고 공부하면서 스크린 댄스 장르의 담론을 체화할 수 있었다. 서울무용영화제 작품상 수상과 센트럴파크 배급사 추천, 오렌지 필름 기획 상영으로 평론가와 관객을 만나고,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전문사에 초청되어 상영회와 토론회를 하면서 미디어를 통한 무용과 그 연출론에 대해 각 안무가가 가지고 있는 우려와 기대, 의견들을 폭넓게 접할 수 있었다. 이를 계기로 미디어와 무용에 대한 고유한 시각과 예술인으로서 역할 의식을 가지게 되었고, 이후의 작품 제작에 큰 동기가 되었다. 미디어 속으로 가공하는 주체로서의 비판적 성찰을 하게 되었다.
001a
001b